내장그래픽 외장그래픽 카드 활성화 및 듀얼모니터 동시사용 방법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내장그래픽 외장그래픽 카드 활성화 및 듀얼모니터 동시사용 방법

내장그래픽 외장그래픽 카드 활성화 및 듀얼모니터 동시사용 방법 어떻게 되는지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내장그래픽과 외장그래픽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나요?

CMOS 설정만 해주시면 동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내장그래픽과 외장그래픽의 성능을 합칠 수 있나요?

내장그래픽과 외장그래픽의 성능은 합칠 수 없습니다.

 

 

이 작업은 본인의 컴퓨터(데스크톱)을 이용하여 직접 확인해본 내용임을 알려드립니다.


내장그래픽 외장그래픽 카드 활성화 및 듀얼모니터 동시사용 방법

컴퓨터를 사용하는데 있어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래픽카드가 장착된 컴퓨터를 구매하게 되는데 영상편집/게임 등 사용상의 이유를 들어 십중팔구 그래픽카드 장착 컴퓨터를 구매하게 됩니다. 저 역시 집에 있는 컴퓨터에 그래픽카드가 고급형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게임이 가능한 장비로 장착되어 있으니까요.

그런데 개인이 아닌 기업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기업의 경우 그래픽카드가 필요하지 않은 직군들이 많이 있는데 특히 현재 내장그래픽의 성능이 상당부분 발전을 했기 때문에 i7-10700 급 정도 되는 10세대 CPU를 구매하더라도 그래픽카드를 장착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개발자 직군이 그렇다고 봐야죠. 물론 연산속도가 매우 중요한 직군이라면 그래픽카드를 달아야 하겠지만 저희 회사 개발자 직군중에 그래픽카드를 장착한 사람은 소수에 불과합니다. 예전에 뭣도모르고 달아놓은 그래픽카드를 제외하고는 최근에는 그래픽카드 없이 내장으로도 충분하다보니 견적에서 그래픽카드를 빼버렸습니다.

 

 

- 내장그래픽 & 외장그래픽이 둘다 필요한 경우가 있다?

내장그래픽 그리고 외장그래픽카드가 둘다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모니터를 여러개 연결해야 되는 상황에서 돈좀 쓰면 외장 그래픽카드 하나만으로 최대 4~5개 또는 그 이상의 모니터 연결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개를 연결하여 게임을 하기 위함이 아닌 단순히 여러개를 연결한 뒤 모니터링 용도로 사용하는데는 고가의 그래픽카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럴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내장그래픽과 외장그래픽을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컴퓨터 본체 뚜껑을 열고 그래픽카드를 끼울 준비를 합니다. 


그래픽카드는 GT630 1G 내장그래픽만도 못한 그래픽카드를 장착했습니다. 말 그대로 모니터 출력을 위해 연결하려고 하는 것이며 사실상 그 이외의 작업에서는 마이너스 효과만 보기 때문에 이렇게 특수한 상황 외에는 안하는게 낫습니다.


이상태로 내장그래픽에 모니터를 연결하면 화면이 나오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외장그래픽에 모니터를 연결합니다.


그리고 CMOS 설정으로 이동해서 Display와 관련된 옵션을 찾습니다. 

 

 

메인보드마다 이름이 다르기 때문에 특정할 수 없는데 제 경우 기가바이트 메인보드였으며 나타난 옵션은 'Initial Display Output' 이었습니다. 기본값은 PCI 1 Slot 이며 해당 뜻은 PCI 1 슬롯만을 이용하여 화면을 띄우겠다는 뜻입니다. 말 그대로 이러한 옵션이 설정되어 있다면 그래픽카드를 내장그래픽이 작동하지 않겠죠?


해당 항목을 열어보면 총 3가지 옵션이 보이는데 여기서 우리가 설정할 옵션은 바로 IGFX입니다. 해당 옵션을 설정해야 내장그래픽과 외장그래픽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아래 두 옵션은 메인보드의 상황에 따라 숫자 혹은 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설정을 마친뒤 CMOS를 빠져 나옵니다.


내장그래픽 외장그래픽 모두 모니터 케이블을 연결한 상태입니다. 내장은 DP 포트 그리고 외장은 DVI 포트를 연결했습니다.


그리고 컴퓨터를 켜면 처음에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가 설치 되지 않았기 때문에 어댑터를 기본 디스플레이와 같이 제대로 설정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대부분 윈도우 업데이트시 그래픽 드라이버도 같이 설치가 진행되므로 업데이트 이후 재부팅만 한번 해주면 정상적으로 듀얼 그래픽을 통해 여러개의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내장그래픽 외장그래픽 카드 활성화 및 듀얼모니터 동시사용 방법 어떻게 되는지 직접 확인해보았습니다. 메인보드마다 명칭이 조금씩 다를 수 있다는 점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