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하며 키보드를 사용함에 있어 연타를 할 일이 그렇게 크지는 않습니다. 주로 게임을 할 때 필요할거라 생각하긴 하지만 키보드 연타가 필요한 게임을 해본 기억이 없는 본인 특성상 문서작성을 할 때 키보드 반응속도가 그렇게 느리다고는 생각해본 적이 없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단순히 본인 생각일 뿐 다른 사람의 생각은 다를 수 있겠죠? 그래서 이번시간에는 키보드 반응속도를 레지스트리로 수정하여 더 나아지는 것이 있는지 직접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참고로 해당 작업은 윈도우7 OS에서 진행하였지만 윈도우10 역시 크게 다르지 않은 점 알아두셨으면 좋겠습니다.
우선 키보드 반응속도를 레지스트리 없이 올리는 방법은 제어판의 키보드 속성을 가보시면 쉽게 해볼 수 있습니다. 크게 3가지 옵션이 존재하는데 재입력 시간 및 반복속도 그리고 커서 깜박임 속도가 있는데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반복속도 > 재입력 시간 > 커서 깜박임 속도라 할 수 있습니다.
재입력 시간 - 키보드를 누르고 있을때 첫 키가 입력된 후 다음키가 연속으로 눌러지는데 소요되는 시간
반복 속도 - 키보드를 누르고 있을때 첫 키가 입력된 후 다음키부터 연속으로 눌러지는 속도
커서 깜박임 속도 - 커서가 깜빡이는 속도로서 건드릴 필요없음
잘 모르겠다면 그냥 재입력 시간과 반복 속도를 짧게,빠름으로 놔두면 됩니다. 하지만 해당 값은 어느정도 수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레지스트리 수치를 키보드 속성보다 높게 설정함으로서 더 빠른 반복 속도를 노려볼 수 있습니다.
키보드 반응속도를 더 높여보기 위해서 레지스트리를 활용해야 하는데 윈도우키 + R버튼을 누르고 regedit 입력을 한 뒤 해당 위치로 찾아가보면 아마 기본 값이 2,0,31로 되어 있을겁니다. 순서대로 커서 감박임 속도,재입력 시간,반복 속도를 수치화 한 데이터인데 이것을 더 높은 값인 2,0,48로 설정해줍니다. 물론 해당 값을 설정해도 느낌상 큰 변화는 없었습니다.